노자 도덕경 제45장
제45장. 청정淸靜
대성약결 기용불폐 대영약충 기용불궁 대직약굴 대교약졸 대변약눌
大成若缺 其用不弊 大盈若沖 其用不窮 大直若屈 大巧若拙 大辯若訥
크게 이룬 것은 이지러진 것 같으나 그 작용은 낡아 해지지 않는다. 크게 찬 것은 (빈 것처럼) 깊은 것 같으나 그 작용은 (아무리 하여도) 다함이 없다. 크게 곧은 것은 굽은 것 같고, 크게 공교함은 치졸한 것 같고, 크게 능한 말은 어눌한 것 같다.
- 大成若缺 其用不弊: 크게 이룬 것은 이지러진듯하나 그 작용은 낡아 해지지 않는다. 여기서 大成ㆍ大盈ㆍ大直ㆍ大巧ㆍ大辯 등의 크게 이룸ㆍ크게 참ㆍ크게 곧음... 등은 ‘(도와 덕의) 큰 행위’를 뜻한다.
- 大盈若沖 其用不窮: (도가) 크게 찬 것은 (빈 것 같이) 깊이 있는 것 같으나 그 작용은 (아무리 하여도) 다함이 없다.(沖: 제4,42,45장)(제4장 道沖而用之或不盈 참고)
조승한 정승열 청정위천하정
躁勝寒 靜勝熱 淸靜爲天下正
재바름은 추움을 이기고, 고요함은 더움을 이긴다. 맑고 고요함은 천하를 바르게 한다.
- 躁勝寒 靜勝熱 淸靜爲天下正: 몸을 재바르게 움직여 추위를 이기고, 몸을 고요히 하여 더위를 극복한다. (임금의) 맑고 고요함은 천하를 바르게 한다. 여기서 ‘淸靜’은 ‘맑고 고요한 성정’을 뜻한다.
앞 구절의 大成若缺, 大盈若沖, 大直若屈, 大巧若拙, 大辯若訥 등은 도와 덕의 천연한 속성으로 이는 오직 임금의 맑고 고요한 정신의 바탕에서만 온전히 이행될 수가 있는 것이다.(제26장 重靜 참조)
[章注] 원문 大成若缺에 대하여 ‘하상공’은 ‘謂道德大成之君 若缺者 滅名藏譽 如毁缺不備<도와 덕이 크게 이루어진 군주를 일컫는다. ‘마치 모자란 듯하다.’는 것은 이름을 없애고 명예를 감추므로 마치 (품격이) 훼손되고 모자라 제대로 갖추지 못한 것 같다는 말이다.>’라고 주석하며,
원문 躁勝寒에서는 ‘勝 極也 春夏陽氣躁疾於上 萬物盛大 極則寒 寒則零落散亡也 言人不當剛躁也<‘승’은 ‘지극하다’이다. 봄여름에 하늘의 양기가 재빠르면 만물이 성대해진다. (이것이) 지극하면 추워지며, 추워지면 (초목은 말라) 잎이 떨어지고 흩어져 없어진다. (이는) 사람은 강직하고 조급하면 온당치 않다는 말이다.>’라고 주석하고,
원문 靜勝熱은 「하상공장구」에 靜則熱로 되어 있고 ‘秋冬萬物靜於黃泉之下 極則熱 熱者 生之源也<가을겨울에 만물은 황천아래에 고요하며, (그것이) 지극하면 더워진다. 더움은 생명의 원천이다.>’라고 주석한다.
또, 원문 淸靜爲天下正은 「하상공장구」에 淸靜能爲天下正으로 되어 있고 ‘能淸能靜 則爲天下之長 持正則無終已時也<맑고 고요할 수 있으면 천하의 수장이 되고, 바름을 유지하면 (치세가) 마쳐 끝나는 때가 없다.>’라고 주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