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도덕경 제56장
제56장. 지자知者
지자불언 언자부지
知者不言 言者不知
(도를) 알면 말하지 않고, (도에 대하여) 말하면 알지 못한다.
- 知者不言 言者不知: (도의 밝음을) 알면 (그에 대하여) 말하지 않고, (도에 대하여) 말하면 (그는) 알지 못하는 것이다. 혹자는 이 구절이 제1장의 ‘道可道 非常道’를 보충하여 설명한다고 하나 사실 이 부분의 취지는 그것과 무관하다.
知者不言; 도의 실질이나 도의 밝음은 오직 상자연한 정신을 바탕으로 한 물아일체의 입장에서만 통찰할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학식이나 문리文理적 사변, 형이상학적 추론 등에 의한 상대적 분별로써 이해하거나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말하지 않는 것이다.
성인은 도와 덕의 실질을 안다. 그리고 욕심과 집착 그리고 자기중심적 시야 속에 갇힌 인간의 순수한 본성이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는 것은 오직 청정淸靜한 정신과 자기스스로에 대한 솔직하고 겸허함으로써만 가능하다는 것도 안다. 그 때문에 성인은 무위로 처신하고 말없이 모범을 보이면서 (사람들로 하여금) 자애와 검소 그리고 상자연함을 귀중히 여기도록 끊임없이 정성을 들이고 있는 것이다.
言者不知; 도의 상자연한 속성은 학식이나 문리文理적 사변 등 상대적 분별의 지식으로 이해하거나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닌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상대방에게 전하고자 장황하게 설명한다는 것은 결국 도를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색기열 폐기문 좌기예 해기분 화기광 동기진 시위현동
塞其兌 閉其門 挫其銳 解其粉 和其光 同其塵 是謂玄同
(부귀공명에 대한) 기뻐함을 막고 (탐욕과 쾌락의) 문을 폐쇄하여 (이해와 탐욕의) 날카로움을 꺾으며 (그 다툼의) 분분함을 풀고서 그 (존엄한) 빛남을 (백성과 더불어) 조화하여 풍진을 함께한다. 이를 일컬어 현동(지극한 동화同和)이라 한다.
- 塞其兌 閉其門: (성인은 스스로) 부귀와 공명을 기뻐하고 즐기는 열망의 감정을 근원적으로 막아서(塞其兌) 내면에 유입되지 않도록 그 탐욕과 쾌락의 통로를 폐쇄함으로써(閉其門) 맑고 깨끗한 정신으로 공평무사한 내면의 세계를 한 결 같이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성인이 백성을 공정하게 대할 수 있는 심신수양의 요체를 말하고 있다.(제52장 ‘塞其兌 閉其門’ 참고)
- 挫其銳 解其粉: (이해와 탐욕의) 날카로움을 꺾고 그 (다툼의) 분분함을 풀다. 여기의 ‘紛’이 ‘分’으로 된 판본도 있으나 뜻에는 차이가 없다.
- 和其光 同其塵: 임금의 존엄한 위상을 백성과 더불어 조화하며 섞여서 풍진을 함께한다는 '동화同和'를 말한다. 이는 현동玄同 즉 지극한 동화이며, '현동'은 조화하되 부화하지 않는 '지극한 덕'의 속성을 말한다.
- 是謂玄同: 이를 일컬어 현동이라 한다. ‘玄同’은 지극한 같음이며, ‘지극한 동화同和’이다. ‘同和’는 조화調和하되 부화附和하지 않는 것이 그 핵심이다.(玄: 제1,6,10,15,51,56,65장)(同: 제1,4,23장)
고불가득이친 불가득이소 불가득이리 불가득이해 불가득이귀 불가득이천
故不可得而親 不可得而疎 不可得而利 不可得而害 不可得而貴 不可得而賤
고위천하귀
故爲天下貴
그러므로 (도는) 가질 수 없으나 친하고 가질 수 없어 멀며, 가질 수 없으나 이롭고 가질 수 없어 해로우며, 가질 수 없어 귀하고 가질 수 없으나 흔하므로 천하에 귀중한 것이 된다.
- 不可得而親 不可得而疎: (도는) 가질 수 없으나 친하고, 가질 수 없어 멀다. 도는 세상의 깊숙이에 있으면서 끊임없이 작용하며 햇볕이나 물, 공기처럼 늘 친근하게 있으되 아무리 애써도 부귀권세나 영화를 위해 사사로이 도구나 기술처럼 소유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참고: 도는 (세상의) 깊숙이에 있으면서 (늘 끊임없이) 작용하고 있으나 (사람들은 그것이) 가득차지 않은 것으로 의심한다(제4장 道沖而用之或不盈). 도의 작용은 미약한 듯하다.(제40장 弱者道之用) 도는 (분별하는) 이름이 없이 숨어 있다(제41장 道隱無名).
도는 크고 광원하여 멀리 (운행하여) 가고 가면 되돌아오며 늘 한결같은 작용으로 스스로 그러하게 있는 ‘常自然한 존재’이다.(제25장 吾不知其名 字之曰道 强爲之名曰大 大曰逝 逝曰遠 遠曰反 故道大.. 및 道法自然)
크게 가득 찬 도는 (너무도) 깊이 있는듯하나 그 작용은 (언제까지고) 다함이 없다(제45장 大盈若沖 其用不窮). 도의 작용은 심오하고 느긋하여 천하를 운용함에 있어서 바쁘지 않고 차근차근 순리에 따라 때가 되어야 이룬다(제41장 大器晩成). 도는 만사를 느긋하게 진행하여 길게 늘어진 듯하나 한 치도 어김없이 참되게 도모한다. 하늘의 그물은 넓고 성글지만 아무리 은밀한 일도 놓치지 않는다(제73장 繟然而善謀 天網恢恢 疎而不失).
도는 이 세상 어떤 일이든 하지 못함이 없고 또 (도가) 하지 않음이 없다(제37장 道常無爲而無不爲). (상대적 관념으로 분별하는) 이름(명)이 없는 박(樸, 소박한 근본바탕)이야말로 도에 이르는 유일한 방편이다(제1,37장 ‘名’ 및 제16장 참고).
ㆍ 도의 작용은 부지런하지 않다. 도는 담담하여 아무 맛이 없으며, 보고 있으되 완전하게 볼 수 없고 충분히 들을 수도 가질 수도 없다. 도의 작용은 흡족하지도 않다. 도는 인간이 사사로이 도구나 기술처럼 명리를 위해 소유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결국, 道는 무한한 섭리에 의하여 스스로 독립적으로 지극히 크고 심원하게 작용하는 것이다.(제6장 用之不勤, 제35장 道之出口 淡乎其無味 視之不足見 聽之不足聞 用之不足旣, 제25장 獨立不改 周行而不殆)≫
- 不可得而利 不可得而害: 가질 수 없으나 이롭고, 가질 수 없어 해롭다. 도는 햇볕이나 물, 공기처럼 세상의 깊숙이에서 조용히 끊임없이 작용하며 늘 친근하고 이로우나 결코 내가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한편, 부귀권세나 명예에 집착하며 사치와 향락만을 좇는다면 이는 도를 벗어나 멀리 있는 것이며 그 상태로는 도의 밝음을 결코 가질 수가 없는바, 도는 가질 수 없어 해로운 것이다.
- 不可得而貴 不可得而賤: 가질 수 없어 귀하고, 가질 수 없으나 흔하다. 도는 하늘과 땅, 햇볕, 물, 공기처럼 만물을 생성하고 먹여 기르며 덮어주고 실어주므로 세상에 그보다 더 귀중한 것은 없으나 사람이 사사로이 가질 수는 없다.
그처럼 도는 소중하고 존귀하면서도 늘 우리의 주변에서 천지나 햇볕, 물, 공기처럼 너무도 흔하고 친근하게 있어서 전혀 의식을 못하고 지내는 것 또한 도이다. ‘도’란 세간의 통념적 가치와는 무관하게 언제 어디서나 상자연常自然한 상태로 존재하는 ‘어떤 것’이다.
[章注] 본장은 도의 소박하고 겸허하며 상자연한 속성을 그대로 좇아 백성과 더불어 참되게 동화하는 성인의 덕을 말하고 있다.(제2장 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참고)
원문 塞其兌 閉其門에서 ‘하상공’은 ‘塞閉之者 欲絶其源<(눈과 입을) 막고 닫는다는 것은 (욕망의) 근원을 단절하고자 함이다.>’이라 주석한다.
원문 挫其銳에서는 ‘情欲有所銳爲者 當念道無爲 以挫止之<정욕이 예민한 바가 있으면 마땅히 도의 무위함을 염송함으로써 꺾어 저지한다.>’라고 주석하며 심신의 수련 쪽으로 풀이를 이어간다.
원문 是謂玄同에서 ‘하상공’은 ‘玄 天也 人能行此上事 是爲與天同道<‘현’은 ‘하늘’이다. 사람이 여기 위(이전 문장)의 일을 행할 수 있다면 이는 하늘과 더불어 같은 도라 일컫는다.>’라고 주석하고,
원문 故爲天下貴에서는 ‘其德如此 天子不得臣 諸侯不得屈 與世浮沉容身避害 故爲天下之貴<그 덕이 이와 같으면 천자도 신하로 삼을 수 없고 제후도 굴복케 할 수 없다. 세상의 부침에 몸을 맡겨 해를 피한다. 고로 천하에 귀중한 것이다.>’라고 주석하며 황로학의 입장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