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도덕경 제65장
제65장. 계식稽式
고지선위도자 비이명민 장이우지
古之善爲道者 非以明民 將以愚之
옛날에 (성인이) 도를 참되게 이행하였던바, 백성을 (학문이나 상대적 분별의 지혜에) 밝도록 하지 않아서 점차로 (명예나 이득에) 우둔하였다.
- 古之善爲道者: 여기서 ‘善爲道者’는 ‘참되게 도를 이행하는 것’이라 새길 수 있으며, ‘者’는 ‘~것’ 혹은 ‘~한바’ 등으로 된다.
- 非以明民 將以愚之: 백성을 (학문이나 지혜에) 밝도록 하지 않아서 장차 (부귀권세나 명예에) 우둔하였다. 여기서 ‘明’은 학식이나 문리文理적 사변, 형이상학적 추론 등 상대적 분별에 의한 지혜의 밝음을 말한다. 이는 결국 사사로이 부귀권세를 다투는데 필요한 것이므로 임금이 원하는 천지자연의 섭리 같은 평화로운 천하의 질서에는 필연코 해로운 것이다.
또한, 백성이 우둔愚鈍하다는 것은 부귀권세나 명예와 같은 사사로운 이득에 대하여 명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민지난치 이기지다 고이지치국 국지적 불이지치국 국지복 지차량자 역계
民之難治 以其智多 故以智治國 國之賊 不以智治國 國之福 知此兩者 亦稽
식 상지계식 시위현덕
式 常知稽式 是謂玄德
백성을 다스리기가 어려운데 그 까닭은 지혜(를 다투는 인사)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리면 나라의 도적이 되고,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리지 않는다면 나라의 복이 된다. 이 둘을 아는 것 또한 ‘계식’이다. 계식을 늘 (유념하여) 아는 것을 일컬어 현덕(지극히 큰 덕)이라 한다.
- 民之難治 以其智多: 백성을 다스리기 어려운 까닭은 지혜(를 다투는 인사)가 많기 때문이다. 여기서 ‘지혜(智)’는 상자연한 도의 밝음에 따른 지혜가 아닌 학식이나 문리文理적 사변, 형이상학적 추론 등 상대적 분별에 의한 지혜를 말한다.
대체로 공자 당시의 소정묘나 맹자 당시의 소진ㆍ장의 같은 변사, 법가의 상앙 등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 常知稽式: 계식을 늘 (유념하여) 알다. ‘稽’는 본래 ‘(神을) 정성스럽게 보살펴 모신다는 의미의 글자로 ‘상고詳考(상세히 헤아림)’의 뜻이다.
여기서 ‘稽式’은 ‘옛날의 법식法式이나 제도를 상고함’이며, 상대적 관점인 명분이나 통념으로 답습하는 기존의 이념과 법식, 제도 등을 (객관적 입장에서) 면밀히 고찰함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기존의 이념, 법식, 제도 등은 결국 천제나 천신 등을 중심으로 하는 ‘화려하고 번듯하며 거룩한 모습을 한 기존의 道’를 일컫는데(제32장 始制有名 名亦旣有 夫亦將知止 참고), 노자는 제67장에서 이를 ‘자잘한’ 도라 하였다.
≪참고: 노자가 활동하던 당시에도 ‘도’라는 것이 이미 성행하고 있었다. 다만 그 도라는 것은 여전히 그러한 귀신이나 천제, 천신, 신선 등이 주재하는 전통적 세계관을 벗어나지 못한 채 혼융되어 그 연장선상에 있거나 그로부터 파생한 것으로서 다분히 신비롭고 주관적인 모습의 소위 ‘신선도神仙道’였으며, ‘각자 저마다의 도’였던 것이다.
이러한 시기에 노자가 제시한 것이 ‘도덕사상’이다. 노자는 우주대자연의 천연한 그대로를 (물아일체의 관점에서) 사실적인 시각으로 관찰하고 기술하는 자연과학적 방식으로 도와 덕을 파악한다.
마음의 빔을 지극하게 하고 성정을 고요히 함으로써 노자는 스스로 참된 본성을 닦아 사물의 근본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였고, 그 물아일체의 바탕에서 한 치도 어김이 없는 무한한 섭리로 도도히 운행하는 우주대자연의 어떤 실체를 통찰하였던바, 이것이 곧 ‘도道(의 존재)’이다.≫
- 玄德: ‘현덕’은 도의 밝음을 그대로 좇아 참되게 행하는 덕으로 ‘上德’과 같이 쓸 수 있다. ‘현덕’은 ‘가마득히 큰 덕’ 혹은 ‘지극한 덕’으로 새길 수 있다.(玄德: 제10,51,65장)
현덕 심의원의 여물반의 연후내지대순
玄德 深矣遠矣 與物反矣 然後乃至大順
현덕은 깊고 원대한 것으로서 (임금이 그로써) 세상 사람들과 함께 하면 (당장은 그에) 반하여 거스르나 그러한 이후에는 곧 큰 순응에 이른다.
- 與物反矣: (임금이 현덕으로) 세상 사람들과 함께 하면 (당장은 세상이 그에) 반하여 거스른다. 여기서 ‘物’은 ‘萬物’ 혹은 ‘物情’이며, ‘세상’ 혹은 ‘세상사람’으로 새길 수 있다.(反: 제25,40,78장)
[章注] 원문 知此兩者 亦稽式에서 ‘하상공’은 ‘兩者謂智與不智也 常能知智者爲賊 不智者爲福 是治身治國之法式也<‘이 둘’은 ‘지혜’와 ‘지혜가 아님’을 말한다. 늘 지혜는 도적이고 지혜가 아님은 복임을 알 수 있는 것, 이것이 몸을 다스리고 나라를 다스리는 법식이다.>’라고 주석하여 치신치국의 개념을 보인다.
또, 원문 常知稽式 是謂玄德에서는 ‘玄 天也 能知治身治國之法式 是謂與天同德也<‘현’은 ‘하늘’이다. 몸을 다스리고 나라를 다스리는 법식을 알 수 있으면 이를 일컬어 ‘하늘과 같은 덕’이라 한다.>’라고 주석하며 본장 전체를 선도의 입장으로 풀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