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도덕경 제50장
제50장. 생사生死
출생입사 생지도십유삼 사지도십유삼 인지생동지사지역십유삼 부하고 이기
出生入死 生之徒十有三 死之徒十有三 人之生動之死地亦十有三 夫何故 以其
생 생지후
生 生之厚
(도에서) 나와 태어나고 (도에) 들어 죽는데, (그중에) 살아가는 무리가 열에 셋이고 죽어가는 무리가 열에 셋이며 사람으로서 사지에서 살아 움직이는 것이 역시 열에 셋이다. 대저 어찌 그러한가? 그렇게 삶으로써 생활(여건)이 든든하기 때문이다.
- 出生入死: (도에서) 나와 생겨나고, (도에) 들어 죽는다. (도의 근본바탕인) ‘無’에서 ‘有’로 드러나 형체를 가지는 것이 ‘出生’이며, 생겨나서 생장하고 노쇠하여 죽음에 이르러서 (본래의) ‘無’로 되돌아가는 것을 ‘入死’라 한다.
- 生之徒十有三 死之徒十有三 人之生動之死地亦十有三: (세상에는) 살아가는 무리가 열에 셋이고, 죽어가는 무리가 열에 셋이며, 사람이 (온전한 몸으로) 사지에서 (영화로운 삶을 추구하며) 필사적으로 살아 움직이는 무리가 역시 열에 셋이다.
‘살아가는 무리’는 ‘出生의 무리’, 즉 태어나서 생장하며 살아가는 무리로서 주로 성장기의 청소년층을 말하며, ‘죽어가는 무리’는 ‘入死의 무리’, 즉 노쇠하여 죽어가는 무리로서 주로 병약하고 노쇠한 노년층을 일컫는다. ‘사지에서 살아 움직이는 사람’은 건장한 청장년층으로서 삶의 두텁고 넉넉함을 좇아 서로 앞을 다투며 필사적으로 나서는 무리이다.
한편, 나머지 열에 하나, 즉 1할은 그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부류이거나 자기 나름대로 자연스럽게 살아가는 무리 정도로 이해된다.
- 夫何故 以其生 生之厚: (사지에서 살아 움직이는 사람이 역시 열에 셋인바) 대체 어찌 그러한가? 그것은 그렇게 살아감으로써 삶이 두텁고 넉넉해지기 때문이다.(제75장 以其求生之厚 참고)(厚: 제44,50,55,75장)
이는 결국 ‘出生’의 무리 3할과 ‘入死’의 무리 3할을 제외한 천하의 대다수 인민이 사지에서 앞을 다투며 살아가고 있는 참담한 현실을 지적하는 것이다. 그만큼 현실의 정치가 상자연한 도와 덕의 속성을 극단적으로 거스르고 있다는 것이며, 이것들은 모두 임금의 부도덕함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개문선섭생자 육행불우시호 입군불피갑병 시무소투기각 호무소조기조 병
蓋聞善攝生者 陸行不遇兕虎 入軍不被甲兵 兕無所投其角 虎無所措其爪 兵
무소용기인 부하고 이기무사지
無所容其刃 夫何故 以其無死地
듣건대 참되게 섭생하면 땅을 걸어가도 (천연한 자연스러움으로 인하여) 외뿔소나 호랑이를 (적으로서) 마주하지 않는다. (적의) 군영에 들어가도 갑병의 피해를 입지 않는다.
외뿔들소는 그 뿔을 들이댈 곳이 없고, 호랑이는 그 발톱을 놓아둘 곳이 없으며, 병장기의 날이 허용될 곳이 없는 것이다. 무슨 말인고 하니 (심신을 참되게 관리하면) 그로써 사지가 없다는 것이다.
- 攝生: ‘섭생’이란 한마디로 심신을 천연한 본래의 상태 그대로 관리하는 것이다. 즉, 천연한 정신을 바탕으로 소박하게 먹으며 검소하고 겸허하게 생활하는 것이다. 그로써 한 점 안일함도 없이 스스로를 철저히 경계할 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물아일체의 입장에서 만물의 있는 그대로를 긍정하고 배려하며 더불어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결국, 참된 섭생이란 갓난아이 같은 천연한 심신의 상태를 말하는데 이는 곧 참된 일상을 살아가기 위한 자기스스로의 수련이다.
섭생을 통하여 심신을 적절히 관리한다면 심신의 건강이나 그 능력이 보통의 사람보다 월등하게 강화되는 것은 심리학적이나 생물학적으로도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이는 심신의 건강과 삶의 질의 향상 그리고 상자연한 도의 밝음을 통찰하기 위한 것으로 참된 삶을 위한 섭생일 뿐, 선도仙道나 도교 등에서 일컫는 양생술이나 방중술 등의 수련과는 궁극적인 취지나 목적이 같지 않다. 물론 이것이 후세에 발생한 도교나 선도 등의 수련에 이론적 근거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사람은 예로부터 맹수나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면서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여 먹고 자고 입으며 스스로 건강하게 생명을 유지하여 최선을 다해 현실을 살아가는 것이 일상의 핵심이고 전부였으며, 이는 곧 삶의 근본실질이자 복된 삶의 원형이었던 것이다.
거기에서 나아가 이웃과 더불어 서로를 배려하며 자유롭고 평화롭게 지금 이 순간을 즐기면서 최선을 다해 주어진 생명을 살아가는 것은 참으로 복된 삶이다. 복禍(행복)이란 본시 넘치는 재물이나 남다른 지위, 불후의 영예 같은 것이 아니라 천재지변이나 전쟁, 질병 같은 환난이 없이 나와 가족의 건강과 화목하고 평화로운 일상이 그 핵심인 것이다.(제58장 禍兮福之所倚 福兮禍之所伏 참고)
참된 삶이란 결국 화려하고 풍족하며 거룩한 삶이 아니라 소박하게 생업에 충실하며 필요한 만큼의 음식을 맛나게 먹고, 검소하나마 맵시 있게 옷을 입으며, 이웃과 더불어 화목하게 풍속을 즐기면서 마음껏 자유롭게 살아가는 것이다.(제80장 甘其食 美其服 安其居 樂其俗 참고)
≪섭생관련 참고: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强其骨(제3장); 사사로움이 없도록 스스로 마음을 비우고 배(내장)를 튼실하게 하며, 부귀공명에 대한 의지를 약하게 하되 심신의 근간인 뼈대를 강하게 한다. 뼈대를 강하게 함으로써 얻어지는 건강한 심신과 씩씩한 기개는 스스로의 수양과 즐겁고 행복한 일상에 있어서 필수적 요건이다.
爲腹不爲目(제12장); 배는 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고 갈무리하는 근원이자 그 기운을 온 몸으로 공급하는 보급기지이다. 내장을 튼튼히 하고 배를 잘 관리하면 정신이 맑아지고 늘 건강한 심신이 유지된다. 배가 불편하면 정신은 총기를 잃고 흐려진다.
또한 마음이 분산되지 않고 고요히 안정됨으로써 내장은 최상의 자정기능을 유지한다. 모든 심신(몸과 정신)의 건강은 근본적으로 배에서 시작되는바 내장의 건강은 곧 몸과 마음의 건강을 의미한다.
욕심과 집착, 불안, 긴장으로 마음이 어지럽고 생각이 복잡해지면 우선 당장 위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 이어서 그것은 다른 장기에 영향을 미치고 몸 전체의 유기적 작용에 문제가 발생하며 심신의 조화가 급속히 무너진다. 건강한 몸과 건강한 정신은 바로 그 근본인 배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눈은 외물을 탐지하여 자기의 생존에 관한 이해득실의 정보를 수집하고 전달하여 비축하는 창구이다. 눈은 신체외부기관 중 에너지 소모가 가장 많은 곳으로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끊임없이 새로운 변화를 탐지하고 욕구를 좇아 탐색한다. 그리고 눈은 건강한 심신을 위한 기운까지도 끌어다가 탐욕과 집착을 위해 소모시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외부의 탐욕과 유혹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고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여 배를 소중히 함으로써 도에 이르는 기본요소인 건강한 심신과 맑고 순수한 정신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復歸其根 歸根曰靜(제16장): 제12장에서 말한 온갖 아름답고 화려한 미색과 감미로운 음악, 갖가지 산해진미, 사냥, 진귀한 보화 및 제13장의 총애와 치욕 등 사람의 마음을 얽어매어 판단을 흐리고 떳떳한 행동을 방해하며 스스로를 병들게 하는 그런 것들에 대한 욕심과 집착을 다 내려놓고 고요히 내 몸 본래의 천연함에 집중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몸의 모든 세포가 활짝 열려 활성화되면서 내장 각 기관의 자정기능은 극대화된다. 몸의 기운은 지극히 자연스러워져 심신이 순수한 생명 그 자체의 조화로운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다.≫
- 兵無所容其刃: 병장기의 날이 허용될 곳이 없다. 참되게 섭생을 하면 천연한 그대로의 자연스러움으로 적의敵意가 없는바 무장한 군대가 공격할 까닭이나 명분이 없다. 여기서 ‘甲兵’은 갑옷과 병장기, 곧 ‘무장한 군대’이다.(甲兵: 제80장)
- 以其無死地: 그로써 사지가 없다. 참된 삶이란 막강한 권세나 고귀한 신분, 넘치는 재화의 영예로운 삶이 아니라 임금과 백성이 모두 부귀권세를 모른 채 그저 생업에 충실하며 소박하나마 맛나게 먹고 맵시 있게 입으며 화목하게 이웃과 더불어 마음껏 자유로운 일상을 즐기는 것이다. 그렇게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천수를 누리다가 다시 道로 돌아간다면 앞에서 언급하였던 ‘死地’란 있을 수가 없는 것이다.
[章注] 본장에서는 상자연한 도와 덕의 속성을 주제로 하고 있다.
원문 出生入死에 대하여 ‘하상공’은 ‘出生謂情欲出於五內 魂定魄靜 故生也 入死謂情欲入胸臆 精神勞惑 故死也<나와서 산다는 것은 사사로운 정과 욕구가 오장에서 나가 혼이 안정되고 백이 고요해지므로 산다는 것이다. 들어가서 죽는다는 것은 욕망이 가슴속으로 들어가 정신이 피로하고 미혹되므로 죽게 된다는 것이다.>’라고 주석하며 양생의 개념으로 풀이한다.
원문 生之徒十有三 死之徒十有三에서는 ‘言生死之類 各十有三 謂九竅四關也 其生也 目不妄視 耳不妄聽 鼻不妄香嗅 口不妄言 舌不妄味 手不妄持 足不妄行 精不妄施 其死反是<삶과 죽음에 이르는 부류가 각각 열세 가지가 있으니 구규와 사관을 이른다. 삶의 부류는, 눈은 망령되게 보지 않으며, 귀는 망령되이 듣지 않고, 코는 망령되게 향내를 맡지 않는다. 입은 망령되이 말하지 않으며, 혀는 망령되이 맛을 탐하지 않고, 손은 망령되이 두지 않고, 발은 망령되이 다니지 않으며, 정기는 망령되이 쓰지 않는다. 죽는 부류는 이와 반대로 한다.>’라고 주석한다.
여기서 구규는 귀, 눈, 코의 각각 2개의 구멍과 입, 항문, 요도의 9구멍을 말하고 사관은 사지관절을 말하는데, 이는 한의학의 용어이자 양생론의 개념이다.
원문 人之生動之死地亦十有三은 「하상공장구」에 원문이 人之生動之死地十有三으로 되어 있고 ‘人之求生 動作反之十有三死地也<사람이 삶을 (필사적으로) 추구하며 열세가지 죽을 곳으로 거슬러 동작한다.>’라고 주석한다.
원문 以其生 生之厚는 「하상공장구」에 以其求生 生之厚也라고 되어 있는데, 원문 및 그 주석의 내용은 본서 및 왕필본과 별반 차이가 없다.
<원문 해석: 그렇게 삶을 (아주 풍요롭게) 추구함으로써 생활이 넉넉하고 든든하다.>
원문 以其無死地에서 ‘하상공’은 ‘以其不犯十三之死地也 言神明營護之 兵兕不敢害<열세 가지의 사지를 범하지 않기 때문이다. 신명이 그를 살펴 보호하니 갑병이나 외뿔소가 감히 해치지 못한다는 말이다.>’라고 주석하여 역시 선도의 시각을 보인다. 여기서 ‘神明’은 仙道의 개념으로 天地가 도계의 元神으로부터 부여받은 太和의 精氣를 의미한다.
한편, 왕필은 원문 出生入死에 대하여 ‘出生地 入死地<사는 땅에 나오며, 죽는 땅에 들어간다.>’라고 주석하며,
또, 원문 生之徒十有三 死之徒十有三 人之生動之死地亦十有三에서는 ‘十有三 猶云十分有三分 取其生道 全生之極 十分有三耳 取死之道 全死之極 亦十分有三耳 而民生生之厚 更之無生之地焉 善攝生者 無以生爲生 故無死地也<십유삼이란 십분의 삼을 말한다. 사는 도를 취하여 끝까지 온전히 살아가는 부류가 십분의 삼이고, 죽는 도를 취하여 끝까지 완전히 죽어가는 부류가 또한 십분의 삼이다. 백성의 삶에 (필요이상) 생활이 풍족하니 (참되게) 살아갈 땅이 다시없다. 참되게 섭생을 하면 (영화로운) 삶을 위해 살지 않으므로 사지가 없다.>’라고 주석하며 ‘人之生動之死地亦十有三’에 대하여 별도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결국, 왕필은 원문 死之徒十有三과 人之生動之死地亦十有三을 같은 의미로 함께 주석하며 「하상공장구」의 내용과 닮아 있다. 결국 이는 「하상공장구」를 참고한 흔적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