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장. 애신愛身
총욕약경 귀대환약신 하위총욕약경 총위하 득지약경 실지약경 시위총욕약
寵辱若驚 貴大患若身 何謂寵辱若驚 寵爲下 得之若驚 失之若驚 是謂寵辱若
경
驚
총(영예)과 욕(치욕)은 놀람과 같아서 (그것에 애착함은 곧) 대환을 몸처럼 귀중히 여기는 것이다. 총애와 치욕이 놀람과 같다는 것(총욕약경)은 무엇을 일컫는가? 총애는 (변하여) 낮게 되는바 얻으면 놀람과 같고, 또 잃어서 놀람과 같으니 이것을 일컬어 ‘총욕약경’이라 한다.
- 寵辱若驚 貴大患若身: 총애를 얻거나 치욕을 당함은 놀람과 같은바 그것을 갈구하거나 애착함은 그 자체가 곧 ‘대환을 몸처럼 귀하게 여기는 것’이다.
여기서 ‘총寵’은 ‘총애’ 혹은 ‘영예’로, ‘욕辱’은 ‘치욕’으로 새길 수 있으며, ‘寵辱若驚’이란 ‘총애와 치욕으로 인한 놀람은 그 자체로 심신에 미치는 해로움이 큰 우환과도 같은 것’인데, 그것을 내 몸 같이 귀중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大患’은 ‘큰 우환憂患’이다.
하위귀대환약신 오소이유대환자 위오유신 급오무신 오유하환
何謂貴大患若身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及吾無身 吾有何患
대환을 몸처럼 귀중하게 여긴다는 것은 무엇을 일컫는가? 내가 대환이 있다는 것은 내가 몸이 있음이다. 내가 몸이 없다면 어찌 내게 근심이 있겠는가?
- 及吾無身 吾有何患: 내 몸이 (망가져) 없어진다면 어찌 걱정이란 것이 있겠는가? 결국 내가 몸이 있기 때문에 근심을 하는 것인데도 그 몸은 귀중하게 아끼지 않고 어찌 대환과도 같은 부귀권세 같은 것에 집착하는 것인가?
(총욕약경이란 결국 대환을 내 몸처럼 귀중하게 여기는 것이며, 그로써 몸이 망가짐에도 대환 그 자체인 부귀권세를 좇으며 그것을 내 몸처럼 귀중히 여기는바,) 내가 몸이 없다면 어찌 근심이 있겠는가?
여기서 ‘吾’는 ‘우리’라고 새기는 것이 시실은 정확한데, 그러나 ‘우리’라고 말하면서도 실제 의미는 ‘나’의 뜻으로 쓰이고 있다. 이는 대화의 당사자가 임금이므로 이를 예우하는 어법이다.
고귀이신위천하 약가기천하 애이신위천하 약가탁천하
故貴以身爲天下 若可寄天下 愛以身爲天下 若可託天下
그러한 때문에 몸을 귀중히 하여 천하를 위한다면 천하를 맡길 수가 있다 할 것이며, 몸을 아껴서 천하를 위한다면 천하를 의탁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 貴以身ㆍ愛以身: 몸을 귀중하게 하고 몸을 아낀다. 이는 곧 마음의 사사로움을 내려놓고 성정을 맑고 고요히 안정시켜 심신을 천연한 본래의 상태로 관리한다는 섭생攝生을 의미한다.(제50장 ‘攝生’ 참고)
제12,13장의 이러한 내용들은 곧 이어지는 제14장의 ‘道紀’와 제16장의 靜ㆍ命ㆍ常ㆍ明에 대한 이해와 그에 다가가기 위한 기본자세를 갖추기 위한 사전 준비작업 정도의 성격으로 이해할 수가 있다.
≪참고: 제16장의 ‘歸根曰靜’은 제12장의 온갖 아름답고 화려한 미색과 감미로운 음악, 갖가지 산해진미, 사냥, 진귀한 보화 및 제13장의 총애와 치욕 등 사람의 마음을 얽어매어 판단을 흐리고 떳떳한 행동을 방해하며 스스로를 병들게 하는 그런 것들에 대한 욕심과 집착을 다 내려놓고 고요히 내 몸 본래의 천연함에 집중한다는 것을 뜻한다.
제16장 歸根曰靜: 근본으로 돌아감을 정靜이라 한다. 자신을 철저히 경계하며 고요히 자연스럽게 몸 전체로 깊은 숨을 쉬면 (의식에는) 생명 그 하나만 남으며 정신은 맑고 천연한 본래의 근본상태로 되돌아간다.≫
- 愛: ‘愛’는 농부가 곡식을 보살피고 아끼듯, 부모가 자식을 아끼듯 그렇게 자기 몸을 아끼고 이웃을 내 몸 같이 아낀다는 의미이며, ‘색嗇’과 통하는 개념이다.
한편, ‘慈(자애)’는 긍정과 배려로 모든 것을 용납하며 널리 베푼다는 ‘관용’과 ‘이타利他’의 의미가 강한데, 그러나 천연한 본성에서 우러나는 인간다운 참된 정서는 ‘愛’와 크게 다를 바 없다.(愛: 제10,13,27,44,72장)(慈: 제18,67장)
- 若可託天下: 몸을 귀중히 하고 아낌으로써 천연한 본성으로 만물의 근본을 직시할 수 있으며, 그로써 세상의 모든 것을 긍정하고 용납하며 천하를 하늘의 섭리처럼 조화롭게 아우를 수 있는바 ‘천하를 맡기고 의탁할 수가 있다.’고 하였다.
[章注] 본장에서도 제12장에 이어 ‘몸이 최우선이다’라고 한다. 제12장에서는 온갖 아름답고 화려한 미색과 감미로운 음악, 갖가지 산해진미, 사냥, 진귀한 보화 등이 사람을 스스로 병들게 하고 떳떳한 행동에 방해가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어 제13장에서도 총애나 치욕 또한 그 자체로 사람의 마음을 해치고 몸을 상하게 한다면서 참다운 ‘섭생攝生’을 강조한다.
총애나 치욕은 그 자체가 마치 ‘놀람’과 같아서 이에 갈구하며 집착한다는 것은 큰 근심을 내 몸처럼 귀중하게 여기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러한 때문에 내 몸이 망가지는데도 총애나 치욕을 갈망하고 집착하며 대환과도 같은 그것을 내 몸처럼 귀중히 여기고 있다.
내 몸이 망가져 없어진 다음에도 내게 걱정이란 것이 있을 수 있는가? 몸이 있기 때문에 근심도 걱정도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귀중한 몸은 아끼지 않고 대환과도 같은 총애나 치욕 같은 것에 마음을 두고 집착한다. 임금으로서 몸을 귀하게 여기며 아낄 줄 안다면 그에게 천하를 맡겨 의탁할 수가 있는 것이다.
원문 及吾無身 吾有何患에서 ‘하상공’은 使吾無身 體道自然 輕擧昇雲 出入無間 如道通神 當有何患<(가령) 내가 몸이 없도록 하여(도체로 변하여) 도를 체득하고 스스로 그러하며, 가볍게 움직여 구름을 타고 틈이 없는 어떤 곳에도 드나들어 道로서 神(元神)과 통한다면 당연히 무슨 근심이 있겠는가?>이라 주석하는데, 이는 仙道의 ‘도통道通’을 말하는 것이다.]
'노자 도덕경(11장~20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 도덕경 제16장 (0) | 2013.07.07 |
---|---|
노자 도덕경 제15장 (0) | 2013.06.30 |
노자 도덕경 제14장 (0) | 2013.06.24 |
노자 도덕경 제12장 (0) | 2013.06.10 |
노자 도덕경 제11장 (0) | 2013.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