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8장. 상덕上德
상덕부덕 시이유덕 하덕불실덕 시이무덕 상덕무위이무이위 하덕위지이유이
上德不德 是以有德 下德不失德 是以無德 上德無爲而無以爲 下德爲之而有以
위 상인위지이무이위 상의위지이유이위 상례위지이막지응 즉양비이잉지
爲 上仁爲之而無以爲 上義爲之而有以爲 上禮爲之而莫之應 則攘臂而扔之
상덕은 (드러남이 없으므로) 덕이 아니다. 이로써 덕이 있는 것이다.
하덕은 덕을 잃지 않(으려 짐짓 덕을 짓)는다. 이로써 덕이 없는 것이다.
상덕은 (드러나게) 위함이 없어서(無爲) (사사로운 의도가) 없이 위하고;
하덕은 (짐짓 드러나게) 위하여(爲之) (사사로운 의도를) 두고 위한다.
상인은 (드러나게) 위하되(爲之) (사사로운 의도가) 없이 위하고;
상의는 (짐짓 드러나게) 위하되(爲之) (특정한 의도를) 가지고 위하고;
상례는 (짐짓 드러나게) 위하되(爲之) (상대방이 예로써) 상응함이 없으면 (불쾌하게 자기의) 팔뚝을 밀쳐서 당긴다.
- 上德不德: 상덕은 덕이 아니다. 덕이란 본래 천지자연의 섭리처럼 천연하여 사사로운 의도가 개입되지 않는다. 참된 德(上德)은 그처럼 드러남이 없이 은미하게 행하므로 덕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이로써 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도와 덕이 상자연한 우주대자연의 근본이치라면 仁ㆍ義ㆍ禮는 인간사회의 돌아가는 윤리로서 상대적 개념이다.
- 下德不失德 是以無德: 하덕은 덕을 잃지 않는다. 하덕은 성스러운 품위를 잃지 않으려고 애써 모습을 지어내는바 ‘천연한 그대로의 덕’이 없는 것이다. 이로써 덕이 없다.
- 上德無爲而無以爲: 상덕(즉, 참된 덕)은 드러남이 없이 위하므로 사사로움이 없이 위한다.
- 下德爲之而有以爲: 하덕은 (짐짓 의도하여 각별히) 위하므로 (사사로움을) 가지고 위한다.
- 上仁爲之而無以爲: 상인은 (짐짓 각별히) 위하되 (사사로움이) 없이 위한다. 여기서 (순수한 마음으로 위하는) ‘上仁’을 (사사로움이 개입된) ‘下德’보다 상위의 개념으로 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下德’을 ‘上義’와 같은 수준으로 보고 있다는 것은 본래의 ‘德(상덕)’이 사회적으로 통념화하면서 ‘義’ 정도의 개념으로 변질되었음을 뜻한다. 즉, ‘下德’은 덕이 오염되어 참되지 못한 덕으로 된 것이며, 이는 곧 ‘仁義’ 정도의 의미로 통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 則攘臂而扔之: 여기서 ‘禮’는 팔을 들어 읍을 하며 상대에게 격이 맞도록 응대하는 것을 말한다. ‘攘臂而扔之’는 ‘화를 내며 팔뚝을 밀쳤다가 거두어들이는 모양’이며, 이는 곧 이쪽에서 정중하게 절차를 갖추어 예우하는데도 상대가 그에 맞도록 적절하게 대응하지 않으므로 불쾌감을 드러내며 예를 거두어들이는 모습을 뜻한다.(제69장 攘無臂 執無兵 扔無敵 참고)
- 이 부분은 천지자연의 상자연한 이치로서의 덕과 인간사회의 상대적 윤리개념으로서 인ㆍ의ㆍ예를 비교함으로써 ‘덕(上德)’의 천연한 속성을 정확히 인식코자 함이다.
고실도이후덕 실덕이후인 실인이후의 실의이후례
故失道而後德 失德而後仁 失仁而後義 失義而後禮
그러한바 도를 잃은 후에는 덕에 귀속되며, 덕을 잃은 후에는 인에 의한다. 인을 잃은 후에는 의이며, 의를 잃은 후에는 예이다.
- 失道而後德: 도를 잃은 후에는 덕이다. 도에서 덕이 생겨나고 덕은 만물을 낳아 먹여 살린다. 도에서 나와 ‘有(천지만물)’가 되면 이는 이미 도가 아니므로 도에서 나온 만물은 즉시 덕의 운영에 귀속된다. ‘도를 잃은 후에는 덕’이라고 하는 것은 이러한 섭리를 일컫는 것이다.
≪참고: 보고 있으되 보지 못하고 듣고 있으되 듣지 못하며 쥐고 있으되 갖지 못하는 어떤 것이 한데 섞이어 하나로 있는데, 하늘과 땅이 있기 이전이다. 그것은 한없이 크고 광원하여 명암으로 구분되지도 않으며, 끝없이 연이어져 (상대적 개념으로는 그 실질을) 이를 수가 없다. 결국 물질이 없음(無)으로 다시 돌아간다.
이를 형상形狀이 없는 형상이고 물질이 없는 현상現象이라 하며, 있는 듯 없는 듯 홀연하고 경이롭다. 그 실질을 온전히 인식할 수는 없으나 실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인체의 지각으로는 인식할 수 없는바 ‘無(없음)’라고 한다(제14장). 여기서, ‘한데 섞이어 하나로 이루어진 그것’은 ‘無’이다. 그리고 이 ‘無’가 바로 ‘도기道紀(도의 근본바탕)’인 것이다.
‘無(도의 근본바탕)’에서 ‘有(天ㆍ地)’가 생겨나오고, 만물은 ‘有(天ㆍ地)’에서 생겨난다. ‘有(天ㆍ地)’에서 상象ㆍ물物ㆍ정精이 생겨나 그 셋은 만물을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有’는 곧 天ㆍ地를 뜻하며, ‘천ㆍ지’는 도를 그대로 좇아 만물을 낳아 먹여 기르는 ‘德’을 의미한다.
도는 덕으로 하여금 만물을 이루게 하고, 덕은 도를 그대로 좇아 생명의 생성에 직접 관여한다. 도에서 비롯한 덕이 만물을 생기게 하며, 도를 그대로 따르는 덕만이 만물을 낳아 먹이고 기르고 오로지 도를 온전히 이행할 수 있다(上德). 만물이 나서 늙고 죽음에 이르는 과정은 모두 德의 운행에 의한다.
도에서 나와 ‘有(천지만물)’가 되면 이는 이미 도가 아니므로 도에서 나온 만물은 즉시 덕의 범주에 귀속된다. ‘도를 잃은 후에는 덕’이라고 하는 것은 그러한 과정들을 말하는 것이다.
(제1장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제4장 象帝之先, 제10장 生之畜之 生而不有 爲而不恃 長而不宰 是謂玄德, 제21장 孔德之容 唯道是從, 제38장 失道而後德, 제40장 天下萬物生於有 有生於無, 제41장 道隱無名 夫唯道 善貸且成, 제42장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제51장 道生之 德畜之 物形之 勢成之ㆍ是謂玄德 참고)
ㆍ 함께 섞인 채 하나로 이루어진 어떤 것이 천지보다 먼저 있었는데, 고요하고 그윽하게 독립적으로 있으며 다시 고침이 없고, 두루 행하나 위태롭지 않으니 이는 천지의 어미이고 천하 만물초목이 존재하는 근본이 되는 ‘道’이다.(제25장 有物混成 先天地生 寂兮寥兮 獨立不改 周行而不殆 可以爲天下母)
도는 크고 광원하여 멀리 (운행하여) 가고 가면 되돌아오며 늘 한결같은 작용으로 스스로 그러하게 있는 ‘常自然한 존재’이다.(제25장 吾不知其名 字之曰道 强爲之名曰大 大曰逝 逝曰遠 遠曰反 故道大.. 및 道法自然)
덕은 도를 좇아 행하므로 덕 역시 크게 움직인다.(제21장 孔德之容 唯道是從)
ㆍ 도는 (세상의) 깊숙이에 있으면서 (늘 끊임없이) 작용하고 있으나 (사람들은 그것이) 가득차지 않은 것으로 의심한다(제4장 道沖而用之或不盈). 도의 작용은 미약한 듯하다.(제40장 弱者道之用) 도는 (분별하는) 이름이 없이 숨어 있다(제41장 道隱無名).
ㆍ 도는 만물이 태어난 속이며, 의지하여 돌아가는 근본이다(제62장 道者萬物之奧). 덕의 운행에 따르던 만물은 죽으면 다시 도로 돌아간다(제34장 萬物歸焉而不爲主, 제40장 反者道之動, 제50장 出生入死).≫
- 失德而後仁: 덕을 잃은 후에는 인이다. 천지자연의 상자연한 이치인 덕을 잃게 되면 그 자리는 인간사회의 윤리적 가치로서 인이 대신하게 된다. 도와 덕이 상자연한 우주대자연의 근본이치라면 인仁ㆍ의義ㆍ예禮는 인간사회의 돌아가는 윤리인 것이다.
무릇 노자에 대한 중요한 오해가 바로 노자가 유가의 ‘仁’을 부정한다는 것이다. 도는 천지만물초목을 어느 하나 특별하게 배려하거나 인자하게 대하지 않는다. 만약 어느 한 부분을 특별히 배려한다면 천지간의 절묘한 조화는 금방 균형을 잃고 무너질 것이다. 그러나 백성들의 일상에 필요한 생활의 지혜나 개인 간에 우러나오는 참된 마음의 仁ㆍ義는 인간사회의 돌아가는 윤리이며 행복한 일상에 여전히 소중한 가치라는 것이 또한 노자의 입장이다.
노자는 ‘與善仁(참되게 사람을 대하므로 어질다, 제8장)’이라 하여 백성을 대하는 성군의 본분으로서 입장이 아닌 개인과 개인 간의 참다운 인간관계로서는 ‘仁(어짊)’은 소중한 인간적 가치로 보고 있다. 즉, 무위無爲, 무욕無慾, 불인不仁해야 하는 성군도 개인과의 사적인 관계에서는 인(어짊)으로 대하여야한다는 것이다.
≪참고: 노자는 우주대자연의 천연한 그대로를 사실적인 시각으로 관찰하고 기술하는 자연과학적 방식으로 도와 덕을 정리하였다.
마음의 빔을 지극하게 하고 성정을 고요히 함으로써 노자는 스스로 참된 본성을 닦아 사물의 근본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였고, 그 물아일체의 바탕에서 한 치도 어김이 없는 무한한 섭리로 도도히 운행하는 우주대자연의 어떤 실체를 통찰하였던바, 이것이 곧 ‘도道(의 존재)’이다.(제14장 및 제16장 靜ㆍ命ㆍ常ㆍ明, 제25장 道法自然ㆍ獨立不改 참고)
도는 만물의 각자 살아가는 삶을 특별히 차등하지 않는데, 이로써 만물의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아갈 권리는 지극히 평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당연히 도를 본받는 천지와 성인 또한 무위無爲ㆍ무욕無慾ㆍ불인不仁이 그 본분일 수밖에 없다.
덕德이란 그러한 도의 밝음을 인간이 그대로 좇아 참되게 이행하는 것이다. 인간이 직접 도를 행할 수는 없는바 도의 밝음을 사람이 그대로 좇아 행하는 것을 참된 덕(上德)이라 하며, 상덕이야말로 천하를 아우르는 성군의 본분이다. 만물이 나서 늙고 죽음에 이르는 과정은 모두 德의 운행을 따른다. 성군은 그러한 섭리를 참되게 따를 뿐이며, 그것을 일러 현덕이라 한다.
‘仁’은 본래 사람(人)과 사람(人)이 서로(二) 살아가는 (참된) 관계를 뜻하는 글자이다. 도와 덕은 천지가 만물에게 또는 왕이 백성을 대하는 태도이나 이것이 개인과 개인이 서로에게 대하는 사사로운 개념으로 바뀌면 아무리 그것이 지극하여도 ‘仁ㆍ義’가 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노자가 세속화된 ‘下德’은 ‘上仁(지극한 인)’보다 못하다고 하였다.(제38장) 그리고 세상이 더욱 각박하여 어지러워지면 결국에는 강제적 규범인 ‘법法’이 ‘예禮’를 대체하게 된다.≫
부례자 충신지박이란지수 전식자 도지화이우지시 시이대장부 처기후
夫禮者 忠信之薄而亂之首 前識者 道之華而愚之始 是以大丈夫 處其厚
불거기박 처기실 불거기화 고거피취차
不居其薄 處其實 不居其華 故去彼取此
무릇 예라는 것은 정성과 믿음이 얕아서 어지러움의 첫머리가 된다. 기존의 것을 인식(하여 답습)한다는 것은 도가 화려해져 우매하게 되는 시초가 된다. 이 때문에 대장부는 두텁게 처신하며 경박하게 있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거처하며 화려하게 지내지 않는다. 그 때문에 피(화려하고 형식적인 것)를 버리고 차(검소하고 실질적인 것)를 취한다.
- 忠信之薄而亂之首: ‘忠’은 (상대에 대하여) 마음에서 우러나는 참됨, 곧 정성스러운 참됨이며, ‘信’은 천연한 그대로의 진실함에 대한 믿음이다. 각각 ‘정성’과 ‘믿음’으로 새길 수 있다. ‘亂’은 ‘(세상질서의) 어지러움’이다.
- 前識者 道之華而愚之始: 여기서 ‘前識者’는 (예로부터) 지금껏 있어온 이념이나 의식, 법령 등을 인식하여 앎이며, 곧 기존의 화려한 제도나 도를 안다는 것이다. ‘道之華’는 기존의 그러한 도를 명분과 형식으로 인식하여 그대로 답습한다면 도가 (기존의 그것처럼) 화려해진다는 것이다. 이는 화려하고 성스러운 모습의 여러 자잘한 도일뿐이며 또한 노자의 ‘大道’에 다가가는데 있어서 결정적 장애가 되는 것이다. 즉, 도가 화려해져 우매하게 되는 시초가 된다.(제1장 名 및 제32장 始制有名 名亦旣有 夫亦將知止 참고)
천지만물은 본래 분별하여 이름이 없는 ‘無’로 된 하나의 뒤섞인 덩어리였다. 그처럼 하나의 근본으로 이루어져 있었던 어떤 실체를 (사람이) 상대적 관념으로 인식하고 분별함으로써 차이가 생기게 되고, 그에 따라 이름이 붙여짐으로써 만물의 구분이 생겨나는 것이다. 어떤 객체에 이름을 붙여 이른다는 것은 사물을 상대적 관점에서 인식하고 개념화하여 이를 규정하는 행위이다.
여러 사람에 의해 다양한 관점에서 인식되는 ‘이름’은 각자 주관적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객체를 받아들임으로써 피아를 구분할 수밖에 없고, 그렇게 이름으로써 규정된 대상은 그 사물의 한결같은 본래의 모습 그대로일 수가 없다.
- 大丈夫: 무리의 큰 지도자.
- 去彼取此: ‘此’는 지금당장 내가 머물고 있는 실질을 가리킨다. 여기서는 검소하며 실질적인 생활이며, 크게는 만물의 근본바탕을 뜻한다. ‘彼’는 당장 내가 머물고 있는 실질의 저쪽이다. 화려하고 형식적인 생활이며, 크게는 부귀권세의 야망을 의미한다.(去彼取此: 제12,38,72장)
[章注] 본장은 천지자연의 상자연한 이치로서 ‘덕(上德)’과 그 소박한 실질을 강조한다.
왕필은 본 장에서 ‘德者 得也<덕은 얻음이다.>’라고 주석하였는데, 노자가 말하는 덕은 큼(大) ,즉 크게 행함이다.
그리고 왕필은 ‘是以上德之人 唯道是用<이로써 지극한 덕을 가진 사람은 오직 도를 그대로 좇아서 (덕을) 쓴다.>’ 및 ‘以無爲用<무로써 쓴다.>’ 등으로 주석한다.
왕필은 또, ‘各任其貞 事用其誠 則仁德厚焉··<각각 바르게 임하여 정성을 다해 일을 받들면 인덕이 두터워진다.··>’라고 주석하며 『노자』의 ‘德’을 ‘仁德’이라고 쓰고 있다. ‘仁德’은 노자의 덕이 아니다. ‘인덕’은 황로학과 유가의 입장이 혼합된 의미인데, 노자의 관점으로는 ‘하덕下德’이 된다. ‘상인上仁(지극한 인)’은 ‘(통속화한) 하덕’보다 낫다고 하였다.
‘仁德’을 ‘仁’과 중화된 의미의 ‘德’으로 이해해본다면, 자기스스로는 德의 지극함을 따르되 상대방에 있어서는 仁으로 대함으로써 德과 仁의 의미를 굳이 구분하지 않는 유가적 가치관으로 이해할 수는 있다.
한편, 원문 上德不德에서 ‘하상공’은 ‘上德 謂太古無名號之君<상덕은 태고의 이름도 호칭도 없는 임금을 가리킨다.>’이라 하고, 원문 下德不失德에서 ‘下德 謂號諡之君<하덕은 시호가 있는 임금을 가리킨다.>’라고 주석하며,
원문 是以有德에서는 ‘言其德合於天地 和氣游衍 民得以全也<그 덕이 천지와 화합하여 화기가 넘쳐흐르니 백성이 그 기운을 얻어 온전해진다.>’라고 주석하며 황로학적 입장을 보인다.]
'노자 도덕경(31장~40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 도덕경 제40장 (0) | 2014.01.06 |
---|---|
노자 도덕경 제39장 (0) | 2013.12.30 |
노자 도덕경 제37장 (0) | 2013.12.02 |
노자 도덕경 제36장 (0) | 2013.11.24 |
노자 도덕경 제35장 (0) | 2013.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