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3장. 천망天網
용어감즉살 용어불감즉활 차양자혹리혹해 천지소오 숙자기고 시이성인유난
勇於敢則殺 勇於不敢則活 此兩者或利或害 天之所惡 孰知其故 是以聖人猶難
지
之
(임금의) 감연함에 (백성이) 용기를 내니 살상되고, (임금의) 감연하지 않음에 (백성이) 용기를 내니 사는바 이 둘은 혹은 이롭고 혹은 해로운 것이다. (감연함, 즉) 하늘이 미워하는 (그)것에 대하여 누가 그 까닭을 아는가? (성인은 이미 알므로) 그 때문에 성인은 (감연히 앞에 나서는 일을) 다만 그저 어려워한다.
- 勇於敢則殺 勇於不敢則活: (임금의) 감연함에 (백성이) 용기를 내므로 (백성은) 살육되고, (임금의) 감연하지 않음에 (백성이) 용기를 내므로 (백성은) 산다.
- 此兩者或利或害: 여기서 ‘此兩者’는 ‘감연함’과 ‘감연하지 않음’이다.
- 天之所惡 孰知其故 是以聖人猶難之: (감연함, 즉) 하늘이 미워하는 그것에 대하여 누가 그 까닭을 아는가? (성인은 이미 알므로) 그 때문에 성인은 (감연히 앞에 나서는 일을) 다만 그저 어려워한다.
성인은 스스로 감연히 앞에 나서는 그것이 곧 백성을 부추겨 살상하는 일임을 이미 알므로 그러한 일을 그저 어려워하는 것이다. 여기서 ‘敢(감연함)’은 제67장의 삼보 중 하나인 ‘不敢爲天下先(곧, 상자연常自然)’을 거스르는 행위이다.(제63장: 猶難之)
천지도 부쟁이선승 불언이선응 불소이자래 천연이선모 천망회회 소이불실
天之道 不爭而善勝 不言而善應 不召而自來 繟然而善謀 天網恢恢 疎而不失
하늘의 도는 다투지 않으나 참되게 이기고, (간섭하여) 말하지 않으나 (천지만물이) 참되게 화응하며, 부르지 않아도 (천연한 순리가) 스스로 찾아오고, 천연하나 참되게 도모한다. (그처럼) 하늘의 그물은 넓고 넓어서 성글지만 (아무리 은밀한 것도) 놓치지 않는다.
- 天之道 不爭而善勝: 하늘의 도는 (함께) 다투지 않으나 참되게 이긴다. 여기서 ‘天(하늘)’은 우주대자연으로서 하늘이다. ‘天之道’는 ‘大道’와 마찬가지로 ‘우주대자연의 섭리 같은, 상자연한 도’를 일컬으며, 이는 노자가 ‘세상의 (여러) 자잘한 도’라고 말한 ‘귀와 신의 도’, 즉 상제나 천제, 천신, 신선 등에 의한 도와 구분 짓는 개념이다.(天之道: 제9,47,73,77,79,81장)(大道: 제18,34,53장)
- 繟然而善謀: (하늘의 도는) 천연하나 참되게 도모한다. 여기서 ‘繟然’은 ‘띠가 길게 늘어진 상태’를 말하며, (하늘의 도는) 띠를 길게 늘인 듯 느긋하게 순리에 따라 참되게 만사를 도모하므로 한 치의 어근남도 없다는 의미가 된다.(제41장 大器晩成 참고)
- 天網恢恢 疎而不失: 하늘의 그물은 넓고 넓어서 성글지만 (아무리 은밀한 거스름도) 놓치지 않는다. 임금의 감연한 행동으로 백성을 부추겨 살상하는 등의 일은 아무리 좋은 모양으로 감추고 은밀하게 진행한다 해도 하늘의 도는 티끌하나 놓치지 않는다.
[章注] 본장은 제67장의 삼보 중 하나인 ‘不敢爲天下先(곧, 도와 덕의 상자연常自然한 속성)’을 강조하고 있다.
원문 勇於敢則殺에서 ‘하상공’은 ‘勇於敢有爲 則殺其身也<과감히 부추겨 위하는데 용기를 부리면 (자기) 몸을 죽인다.>’라고 주석하고;
원문 勇於不敢則活에서는 ‘勇於不敢有爲 則活其身<과감히 부추겨 위하지 않음에 용기를 내면 (자기) 몸을 살린다.>’라고 하며;
원문 此兩者或利或害는 ‘活身爲利 殺身爲害<몸을 살리니 이롭고 몸을 죽이니 해롭다.>’라 주석하며 본장 전체를 황로학의 입장으로 풀이한다.
본장에서 왕필의 주석은 하상공장구의 내용과 비슷한데, 다만 황로학적 입장을 현학적 표현으로 바꾼 정도가 눈에 띈다.]
'노자 도덕경(71장~81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 도덕경 제76장 (0) | 2014.09.22 |
---|---|
노자 도덕경 제75장 (0) | 2014.09.15 |
노자 도덕경 제74장 (0) | 2014.09.07 |
노자 도덕경 제72장 (0) | 2014.08.25 |
노자 도덕경 제71장 (0) | 2014.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