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7

노자 도덕경 제60장

제60장. 소선小鮮 치대국약팽소선 이도리천하 기귀불신 비기귀불신 기신불상인 비기신불상인 治大國若烹小鮮 以道莅天下 其鬼不神 非其鬼不神 其神不傷人 非其神不傷人 성인역불상인 부량불상상 고덕교귀언 聖人亦不傷人 夫兩不相傷 故德交歸焉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 (이처럼) 도로써 천하에 임하면 (잡)귀는 신이 아니다. (이는) 귀가 (본시本是) 신이 아닌 것이 아니라 신이 사람을 해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이는) 신이 (그 존재자체로서) 사람을 해치지 않는 게 아니라 성인(의 맑고 순수한 정신)이 역시 사람을 해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무릇 그 둘(신과 성인)은 서로 해치지 않느니 (그것은 양자 모두가) 덕으로 교유交遊하며 (道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注] 治大國 若烹小鮮: 큰 생선..

노자 도덕경 제58장

제58장. 무정無正 기정민민 기민순순 기정찰찰 기민결결 其政悶悶 其民淳淳 其政察察 其民缺缺 정사가 민민하면 백성은 순순하다. 정사가 찰찰하면 백성은 결결하다. [注] 其政悶悶 其民淳淳: 정사가 신중하고 답답하면 백성은 순박하다. 임금의 참된 덕이란 백성의 마음으로 내 마음을 삼아 백성의 생각을 일일이 함께 헤아리고 더불어 섞이며 동화하는 것이다. 그렇게 백성을 어린아이처럼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대한다면 그 정치가 답답한 것처럼 여겨지나 백성은 천연한 그대로의 순박함을 잃지 않는다. 그로써 백성들은 각자가 생업에 충실하며 이웃을 배려하고 스스로 자유롭게 살아가면서 천하의 질서는 천지자연의 섭리처럼 조화롭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淳淳’은 ‘(백성의) 천연한 그대로의 순박한 성정’이다. 其政察察 其民缺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