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장. 희언希言
희언자연 고표풍부종조 취우부종일 숙위차자 천지 천지상불능구이황어인호
希言自然 故飄風不終朝 驟雨不終日 孰爲此者 天地 天地尙不能久而況於人乎
말없이 스스로 그러하게 있으므로 표풍은 아침 내 불지 않고 소낙비는 진종일 내리지 않는다. 누가 이렇게 하는가? (바로) 천지이다. (그처럼) 천지자연이 오히려 (더 이상) 오래갈 수 없는데 하물며 사람에 있어서 이겠는가?
- 希言自然 故飄風不終朝: 말없이 천연하게 있으므로 거센 바람은 아침 내 불지 않는다. 여기서는 ‘自然’을 ‘스스로 그러함’으로 새기고 있으나 사실은 ‘천지자연’을 말한다. ‘천지자연’은 ‘(우주)대자연’의 일부로서 천지자연이며, 이는 우주대자연의 섭리로서 ‘도’를 그대로 좇아 행하는 천지자연으로서 ‘덕’을 뜻하는 것이다.
‘표풍’은 회오리바람이나 태풍, 질풍 등 확연히 육안으로 드러나는 바람이며, 여기서는 ‘거센 바람’으로 새긴다.
- 孰爲此者 天地: 누가 이렇게 하는가하니 (바로) 천지이다. 여기서 ‘천지’는 ‘천지자연’을 뜻한다.
- 天地尙不能久而況於人乎: (그처럼) 천지자연이 오히려 (더 이상) 오래갈 수 없는데 하물며 사람에 있어서 이겠는가? 천지자연이 말없이 있듯이 임금은 무욕無慾ㆍ무위無爲ㆍ무사無事로 말없이 모범이 되며 백성과 더불어 화광동진 한다면 천하는 자연의 섭리처럼 조화롭게 안정될 것이다.
이는 결국, ‘천지자연이 말없이 스스로 그러하게 있음으로써 표풍이나 취우가 그처럼 오래가지 않는데 하물며 그것이 하늘과 땅을 따르는 사람에 있어서야 더욱 그러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하면서 우주대자연의 ‘대도’가 ‘인간의 도, 즉 상덕上德으로 연결되는 이치를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제25장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참고)
고종사어도자 도자동어도 덕자동어덕 실자동어실
故從事於道者 道者同於道 德者同於德 失者同於失
그러므로 도로서 정사를 받든다는 것은 (말없는 천지자연처럼) 도는 도로서 (함께) 동화하고, 덕은 덕으로서 동화하며, 실(도와 덕을 잃음)은 실로서 (천연한 그대로) 동화한다는 것이다.
- 從事於道者: ‘도에 있어서 일을 받드는 것’ 또는 ‘도의 밝음으로 일을 받드는 것’으로 새길 수 있다. ‘從事’라 함은 본래 ‘참되게 일을 받듦’인데, 여기서는 ‘도의 밝음으로 정사를 폄’으로 새길 수 있다.(從事: 제23,64장)(事天: 제59장)(無事: 제48,57,63장)(有事: 제48장)
- 道者同於道: 자의 그대로는 ‘도는 도에서 한가지로 한다.’이며, 이는 ‘도는 도로서 함께 대한다.’로 새긴다. ‘同’은 한 가지, 같음, 함께, 화합 등의 뜻으로 여기서는 ‘同和(더불어 같이 조화한다.)’의 의미이다.(제15장 混兮其若濁 및 제49장 善者吾善之 不善者吾亦善之 德善 참고)
‘者’는 여기서 ‘~것’, ‘~는’, ‘~면’이 되며, ‘道者’는 ‘도라는 것’으로 새긴다.
(者: 1,3,7,15,22,23,24,27,29,30,31,33,61,68,70,74장)
- 失者同於失: (도로서 정사를 받든다는 것은 말없는 천지자연처럼 공평무사하게)..그릇됨은 (도와 덕을 잃은) 그릇된 그대로 함께 더불어 동화한다.
동어도자 도역락득지 동어덕자 덕역락득지 동어실자 실역락득지 신부족언
同於道者 道亦樂得之 同於德者 德亦樂得之 同於失者 失亦樂得之 信不足焉
유불신언
有不信焉
(말없는 천지자연처럼 공평무사하게) 도로서 한가지로 대하면 도는 역시 즐거이 받아들이고, 덕으로서 똑같이 대하면 덕은 역시 즐거이 받아들이며, 실로서 (동화하여) 같이 대하면 그 실 역시 즐거이 받아들인다. (결국, 천연한 진실 그 자체로서) 믿음이 부족하면 (백성 또한 자연 그대로의) 믿음이 없다.
- 同於道者 道亦樂得之: (말없는 천지자연처럼 공평무사하게) 도로서 한가지로 같이 대하면 (상대방의) 도 역시 즐거이 받아들인다.
‘同於道者’는 직역으로 ‘도에 있어서 한가지로 한다는 것’이며, 곧 ‘도로서 한가지로 같이 대하면’으로 새길 수 있다. ‘道亦樂得之’에서의 ‘道’는 상대방의 도이며, ‘도의 밝음을 아는 상대방’ 정도로 새길 수 있다.
- 同於失者 失亦樂得之: (말없는 천지자연처럼) 그릇된 그대로 ‘失’로서 함께 섞여 동화하면 (상대방의) ‘失’ 역시 즐거이 받아들인다. 여기서 ‘失’은 도와 덕을 잃은 ‘그릇됨’을 말하며, ‘욕망과 집착으로 심성이 미혹된 인사’ 정도로 새길 수 있다.
이러한 ‘실’을 도나 덕으로 대하면 그 ‘실’과는 결코 동화할 수가 없으며 오히려 그 ‘실’은 크게 비웃거나 배척할 뿐이다. 도나 덕은 본래 담담 무미한 것으로서 뭇사람이 관심을 갖거나 흥미를 이끄는 것이 아닌바 먼저 같은 높이로 소통한 이후에 함께 섞여 하나로 동화하여 간다는 것이다.
노자는 제41장에서 ‘建德若偸(덕을 일으켜 세움은 마치 사사로이 통정하는 것 같다)’라 하였는데, 임금은 그렇게 만백성과 더불어 동화해가는 것이다.
- 信不足焉 有不信焉: (임금이 천연한 진실 그 자체로서) 믿음이 부족하면 (백성 또한 소박한 그대로의) 믿음이 없다. 여기서 ‘信’은 사람이 참됨을 말한다는 의미의 글자로서 천연한 그대로의 진실에 대한 ‘믿음’이다.
임금은 (말로써 백성을 이끌려하지 말고) 천연한 자연처럼 개인의 사사로움을 온전히 내려놓음으로써 스스로를 온전히 경계할 수가 있으며, 그러한 천연한 본성을 바탕으로 한 물아일체의 입장에서 ‘도의 밝음’에 다가갈 수가 있다.
그로써 임금은 세상의 모든 것을 긍정하고 포용하며 천하를 자연의 섭리처럼 조화롭게 안정시키는 것이다. 그러한 믿음으로 백성을 대한다면 백성 또한 순박한 본성 그대로 아무런 의심이 없이 임금을 믿고 따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임금이 스스로 만물의 근본에 대한 확신이 없으면 문제의 본질을 직시하지 못하여 현실을 온전히 인식하지 못하고 진실을 의심하며, 결국 권모와 술수, 음모 등의 사악함을 구별 못하여 큰일을 그르치게 된다. 불의와 불공평, 사악함이 횡행하는 세상에서 백성이 임금을 온전히 믿고 따르기를 기대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제17장 ‘信不足焉 有不信焉’ 참고)
이 구절은 제17장에서 이미 주제어로 나온바 있는데 그것이 그대로 제23장의 마무리부분에 다시 핵심어로 나오는 것은 천지자연처럼 천연한 그대로 한결같으며 공평한 믿음을 지닌 도의 속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의미가 있다.
즉, 제17장-제25장이 도가 덕으로 연결되는 이치를 설명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제23장은 ‘大道’가 ‘인간의 도(즉, 上德)’로 연결되는 이치를 밝히고 있는 제25장으로 넘어가는 사실상의 마지막 단계이므로 또다시 상기하고 있는 것이다.
혹자는 이 구절이 전후 의미나 문맥과 연결이 되지 않는다며 중간에 잘못 끼어든 것으로 설명하나 이 부분은 제23장 전체를 한마디로 축약한 내용으로 첫 구절인 ‘天地尙不能久而況於人乎’와 그 의미가 곧바로 연결된다.
[章注] 제23장은 말없는 천지자연처럼 천연하고 공평하며 한결같은 믿음을 보이는 도의 속성이 세상사에 그대로 반영되고 실행되는 이치를 설명한다. 즉, 도는 도대로 덕은 덕대로 소인은 소인대로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고 용납하는 ‘和光同塵’을 말한다.
원문 天地尙不能久而況於人乎에서 ‘하상공’은 ‘天地至神合爲飄風暴雨 而尙不能使從朝至暮 何況於人而欲暴卒乎<천지가 元神에 이르러 상합하여 표풍과 폭우를 일으키나 오히려 아침부터 저녁까지 이르게 하지는 못한다. (그런데) 하물며 어찌 사람에 있어서 (정사를) 급하게 끝내고자 하는가?>’라며 선도의 관점으로 풀이한다.
혹자는 이 부분을 <(표풍飄風이나 취우驟雨처럼 천지가 하는 일도 오래 유지될 수 없는데) 하물며 인간의 일은 더더욱 오래 유지할 수가 없다.>라고 해석하여 하상공의 주석이 전후문맥에 맞지 않는다는 의견을 보이기도 한다.
원문 德者同於德에 대하여 왕필은 ‘行得則與得同體故曰同於得也<得을 행하면 得과 더불어 동일체가 되므로 得으로서 같이한다고 한다.>’라고 주석하며 ‘得’을 ‘德’과 같은 의미로 보았다.
『노자』에서 得이란 ‘앎이 적으면 밝음(道)을 얻는다는 의미로서의 得일 뿐이며, 得이 그 자체로 德이 될 수는 없다. 이는 德과 得의 발음이 비슷한데다 德을 처세의 利得으로 인식하는 황로학이나 유학의 입장 때문으로 이해되는데, 『노자』에서의 개념으로는 결국 통속화된 ‘하덕下德’이다.]
'노자 도덕경(21장~30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 도덕경 제26장 (0) | 2013.09.16 |
---|---|
노자 도덕경 제25장 (0) | 2013.09.09 |
노자 도덕경 제24장 (0) | 2013.09.02 |
노자 도덕경 제22장 (0) | 2013.08.19 |
노자 도덕경 제21장 (0) | 2013.08.12 |